「내 씨를 받거라……!」
데보노스의 신락 시리즈 중 하나. 원래는 다른 신락 시리즈 합본팩에 미니디스크 느낌으로 들어가있던 겜입니다.
야마모토 카즈에 할머니가 데보노스를 만든지도 꽤 시간이 흘러습니다. 원래는 파랜드 시리즈로 유명한 스튜디오에고를 운영했었죠.
스튜디오에고가 첫 신락시리즈였던 하신락을 발매한지도 어느덧 20년이란 세월이 흘렀습니다. 그시절부터 일부러 전투에서 패배해서(요괴한테 두들겨 맞으면서 신음소리 내는것도 꽤 좋았었죠) 능욕씬을 보는 재미에 중독됐던 저는 그 후로도 신락 시리즈를 꾸준히 했습니다.
그런데 스튜디오에고가 데보노스로 브랜드를 사실상 이전하면서 간판 게임은 파랜드 시리즈나 이즈모 시리즈가 아닌 신락 시리즈가 되었고, 신락 시리즈도 많은 변화를 주게 됩니다. 바로 TRPG에서 로그라이크 장르로 바꾼겁니다. 그러면서 풀프라이스게임이 아닌 미들프라이스 게임이 되었습니다.
로그라이크로 장르가 바뀌면서 장단점이 명확히 발생했습니다. 일단 장점은 전투 시간이 줄어둘면서 스피디한 게임 클리어가 가능해진 부분입니다. 그리고 단점은 스토리가 사실상 없어지고 그냥 무녀가 요괴 몇번 퇴치해서 마을의 평화를 되찾으면 그걸로 엔딩이 납니다. 사실 이런 장단점은 장르의 변화가 원인이 됐다기 보다는 미들프라이스겜으로 바꾸면서 겜의 분량이 줄어들어끼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신락 시리즈 감상은 처음 쓰는거라서 그동안 이 시리즈의 변화를 회상하면서 쓸데없는 말이 길어졌습니다. 갑자기 이 감상을 왜 썼냐면... 변화된 로그라이크 스타일에 적응이 안되서 그동안 오마케만 보고 치우다가 제가 최근 얼라에 눈뜨게돼서... 그동안 신작 시리즈에서도 스루했던 얼라들이 눈에 띄길래... 직접 게임을 플레이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 영신락은 아마 첫 단독 히로인 신락 시리즈일겁니다. 항상 두마리였거든요. 이런 기념적인 게임의 히로인을 얼라로 했다는건 야마모토 할매도 어지간히 페도라는거죠. 실제로 이겜의 얼라는 이후에도 자주 등판해서 사실상 이 시리즈의 간판히로인이 되었고.
야마모토 할망구가 도장이니 쌍팔년도 그림이니 삑사리 엄청 자주 낸다느니 욕은 많이 먹지만 의외로 얼라 몸은 잘 그린답니다. 이 영신락은 간단한 팬디스크 느낌으로 만든 겜이라서 분량이나 그림력이 다른 신락보다 좀 부족하지만요.

댓글 없음:
댓글 쓰기